국민 절반 이상, 보장률 확대 위한 건보료 인상 반대 중증질환에 대한 보장은 바람직 |
|
【뉴 스캔】건강보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. 우리나라 국민들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위한 보험료 인상에 대해 52.3%는 신뢰할 수 없다고 답했다. 신뢰할 수 있다는 답변은 이보다 10% 이상 낮은 42%에 그쳤다.
국민건강보험공단(이사장 정형근)은 고려대산학협력단(김태일 교수)에 의뢰해 국민건강보험과 개인의료보험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갖고 그 결과를 29일 발표했다.
공단 발표에 따르면 정부가 보험료를 인상하여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을 확대하겠다고 하는 경우, 42.0%가 이와 같은 정책방향을 신뢰할 수 있다고 응답한 반면, 52.3%는 신뢰할 수 없다고 응답하였다.
하지만 우리나라 국민들 87.8%는 아픈 사람이 의료 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.
<출처 : 국민건강보험공단> 또한 국민들은 향후 국민건강보험의 보험료와 의료비 보장수준에 대해 53.9%가 현 수준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18.5%는 보장 수준은 현재보다 높이고, 보험료도 인상해야 한다고 답변했다. 또 14.1%는 보장 수준도 낮추고, 보험료도 낮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.
건강보험 보장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들 가운데 45.8%는 보장률 61~70%를 적정 수준이라고 답했다. 또 보장률 71~80% 정도로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44.2%로 비슷했다. 반면 보장률 81%이상은 2.1%로 크게 낮았다.
보장률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들 중 43.0%는 41~50%의 보장률을 원했으며 28.8%가 40%이하, 5.8%는 51~59%를 원했다.
국민건강보험과 개인의료보험의 관계에 대해 36.8%가 ‘국민건강보험이 대부분의 의료비를 보장해서 개인의료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’라고 응답했으며, 40.1%는 ‘국민건강보험에서 의료비의 상당 부분을 부담하고 개인의료보험이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’라고 응답하였다.
하지만 중증질환에 대해서는 62.8%가 ‘국민건강보험 보장수준을 현재보다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’고 응답해 기대치가 높았다. 개인 의료보험으로 알아서 해야 한다는 의견은 27.9%에 그쳤다.
한편,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암 진단 이전에 개인의료보험 가입여부를 묻는 질문에 42.8%가 가입했다고 응답했다. 이는 일반국민의 개인의료보험가입율 63.2%에 비해 20%p 가량 낮은 수치다.
암환자 336명 중 보험금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22명이며, 이들이 받은 보험금은 평균 3106만원이었다(최소 100만원, 최대 1억 5천만원). 이들 중 보험 약관에서 정해둔 약정보험금 전액을 받았다는 응답은 77%였고, ‘일부만 받았다’ 19%, ‘전혀 받지 못했다’가 4%였다. ‘일부만 받았다’는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약정보험금의 54.0%를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.
약정보험금을 전액 또는 일부 못 받은 사유는 ‘보험약관에서 보험금 지급에 해당하는 질병이나 수술이 아닌 경우’가 40.7%로 가장 많았으며, ‘치료목적이 아님’이 22.2%이며, ‘보험가입 후 2년 이전에는 약정보험금의 50%만 지급한다’는 규정에 의하여 일부만 받았다는 응답도 22.2%였다. 반면, ‘질병고지의무 위반’은 14.8%로 가장 적었다.
건강보험 및 의료분야에 대하여 정부가 향후 지출예산을 확대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암 환자들은 응답자의 84.5%가 ‘늘려야 한다’고 응답하여 일반 국민의 설문조사 결과 62.6%에 비해 20%p 이상 더 높았다. 특히 암 환자들의 경우 ‘훨씬 늘려야 한다’가 48.4%로 ‘약간 늘려야 한다’의 36.1%보다 높았을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의 경우 21.6%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. 이는 의료비부담에 대한 경험이 작용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.
이번 연구에서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의 표본을 무작위 추출하여 10월 25일부터 28일까지 전화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또 암환자 336명에 대해서는 11월 15일부터 12월 5일까지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다. |
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 2.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